전체 글 278

[ADsp] 5일만에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자격증 따기 - 1과목 3장. 가치 창조를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와 전략 인사이트

ADsp를 5일동안 공부해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 포스팅만 보고도 합격할 수 있도록 정리를 해보고자 글을 씁니다.✅ CHECK POINT 먼저, 빅데이터 회의론과 우려의 목소리를 들어보셨나요?과거의 CRM과 같은 경영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도입하고도 성과를 충분히 내지 못했던 기업들이 많았습니다. 이런 기업들의 실패 경험들이 빅데이터 시스템의 도입도 머뭇거리고 있는데요, 기업들의 우려 섞인 목소리의 원인과 이러한 의구심을 불식시키기 위한 전력적 발전 방향을 살펴봅시다. 또, 데이터 사이언스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에 대해 들어보셨나요?빅데이터 시대를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는 데이터 사이언스라는 융합 학문이 필요해요. 기존의 통계학과 컴퓨터공학..

[ADsp] 5일만에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자격증 따기 - 1과목 2장. 데이터의 가치와 미래

ADsp를 5일동안 공부해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 포스팅만 보고도 합격할 수 있도록 정리를 해보고자 글을 씁니다.✅ CHECK POINT 먼저, "빅데이터"의 정의를 알고 계신가요? 빅데이터는 말 그대로 큰 데이터를 의미합니다.단순히 용량 뿐만 아니라 복잡성도 증가해서 기존의 데이터 처리 툴로 다루기 어려운 데이터 셋을 지칭하기도 하죠. 빅데이터가 우리 생활을 어떻게 바꾸어 갈까요? 2012년 미국의 44대 대통령 오바마의 빅데이터를 통한 선거운동, 2013년 서울의 심야버스인 올빼미 버스의 빅데이터를 통한 노선변경 등 이 생각납니다. 빅데이터가 발전함에 따라 위기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도 알아볼 필요가 있어요.빅데이터활용을 통해 우리 삶이 편리해진 것은 사실..

[ADsp] 5일만에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자격증 따기 - 1과목 1장. 데이터의 이해

ADsp를 5일동안 공부해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 포스팅만 보고도 합격할 수 있도록 정리를 해보고자 글을 씁니다. ✅ CHECK POINT 먼저, "데이터"의 정의를 알고 계신가요? 데이터라는 단어를 한 번도 못들어 본 분은 없을 거에요.옥스포드 대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데이터를 정의하고 있습니다."추론과 추정의 근거를 이루는 사실" - 데이터 컴퓨터 시대가 시작되면서, 데이터의 의미는 (관념적, 추상적) 개념 → (기술적, 사실적)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데이터와 정보 그리고 지식의 관계는 어떻게 이루어질까요?"데이터 → 정보 → 지식 → 지혜"  순으로 발전 위 순서로 발전하면서, 데이터는 추론, 예측, 전망, 추정을 위한 근거가 됩니다. 데..

[강서구, 양천구, 구로구, 영등포구 일대] 빠르게 움직여야 많이 번다, 배민커넥트!

오늘은 2021년, 코로나로 인해 배달수요가 많아진 시점에 배달 아르바이트를 했던 썰을 풀어보려고 한다.아무래도 대부분의 요식업 자영업자분들께서 이 시기에 홀보다는 배달 위주로 업을 이어나가신 걸로 기억한다. 자연스럽게 나도 배달이라는 것을 해보게 됐다.  지금이야 많은 배달업체들이 있지만, 저 때는 한창 배민커넥트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졌었던 때였다.'배달의 민족'이 그래도 가장 대중성있는 배달어플이기도 하고 우아한 형제들에서 선보인 "누구나 배달을 할 수 있다!"라는 메시지에 눈이 갔기에, 나도 "한 번 해보자" 라고 마음을 먹었던 것 같다.   한창 이 시기에 카공을 많이 했었다. 카페가서 커피를 사는 것이 거의 고정지출이였는데, 뭔가 지금 생각해보면 돈이 정말 필요했던 시기였던 것 같다...

[리트코드/leetcode/python] 560. Subarray Sum Equals K

오늘은 누적합과 관련한 SubArray의 수를 구하는 문제를 가져와봤습니다. 문제는 짧지만 구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문제 이해부터 해보겠습니다. 주어진 정수 배열 'nums'와 정수 'k'가 있을 때, 합이 'k'와 같은 연속된 부분 배열의 개수를 찾는 것이 이 문제의 목표입니다. 예를 들어, num = [1,2,-1,3] 이고 , k = 2 인 경우에는 두 개의 부분 배열 [1,2,-1] 과 [2] 가 목표 합을 만족합니다. 즉 답은 2가 됩니다. 이 문제를 봤을 때 뭔가 누적합을 이용한 풀이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한 조건을 봤을 때 시간복잡도도 고려해야 문제를 통과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 주어진 배열에서 연속된 부분 배열 중 합이 k인 경우의 수를 찾는 것이 핵심인데, 여기서 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