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78

[코테] 코딩 테스트 합격자 되기 2주차 - 스택

스택의 어원은 '쌓는다' 입니다. 어원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먼저 입력한 데이터를 제일 나중에 꺼낼 수 있는 자료구조입니다. 이렇게 먼저 들어간 것이 마지막에 나오는 규칙을 후입선출 혹인 LIFO(Last IN First Out)이라고 합니다. 이 때, 스택에 삽입하는 연산을 push, 꺼내는 연산을 pop 이라고 합니다. 📖 스택의 동작 원리 이해하기 빈 통(빈 스택)에 사탕을 넣는다고 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스택의 ADT ADT는 우리말로 추상 자료형(abstract data type)인데요, 추상 자료형이란 인터페이스만 있고 실제로 구현은 되지 않은 자료형입니다. 일종의 자료형의 설계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렇다면 스택은 어떤 정의가 필요한 자료구조일까요? 우선 스택에는 ..

[코테] 코딩 테스트 합격자 되기 2주차 - 배열

배열은 인덱스와 값을 일대일 대응에 관리하는 자료구조입니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공간은 인덱스와 일대일 대응하므로 어떤 위치에 있는 데이터든 한 번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에 한 번에 접근할 수 있으니 어디에 있는지만 알면 빠르게 탐색할 수 있는 것이죠. 이런 접근 방식을 임의 접근(random access)라고 합니다. 📖 배열 선언 배열을 선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름이 arr 이고 길이가 8인 정수형 배열을 리스트를 활용해서 선언하는 3가지 방법을 예제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일반적인 방법 arr = [0,0,0,0,0,0,0,0] arr = [0] * 8 # 결과는 둘 다 동일합니다. 2) 리스트 생성자를 사용하는 방법 arr = list(range(8)) # [0..

[데이터베이스] 10장 - SQL 에서 stored function 이란? + 언제 사용하면 좋을지에 대해

✅ stored function 의 뜻과 예제 : 사용자가 정의한 함수 : DBMS에 저장되고 사용되는 함수 : SQL의 select, insert, update, delete statement에서 사용할 수 있다. stored function을 만들 때, delimiter 라는 키워드를 사용한다. delimiter 는 구분자를 의미하는데, 기본적으로 SQL 에서 사용되는 delimiter는 (;)세미콜론이다. 하지만, stored program의 정의를 서버로 보내기 위해서는 delimiter를 일시적으로 재정의 해주어야만 한다. 이 때, 주의해야 할 점은 DELIMITER를 재정의하고 stored program을 정의한 후에 delimiter를 기존의 세미콜론(;)으로 바꿔주는 것이 좋다. (계속해서..

[데이터베이스] 9장 - SQL 로 데이터 조회하기! Group by, Aggregation function, Order by

✅ Order by : 조회 결과를 특정 attribute 기준으로 정렬하여 가져오고 싶을 때 사용한다. : default 정렬 방식은 오름차순이다. : 오름차순 정렬은 ASC 로 표기하고, 내림차순 정렬은 DESC 로 표기한다. 바로 예를 살펴보자. statement 는 아래와 같다. - 임직원들의 정보를 연봉 순서대로 정렬해서 알고 싶다. 임직원의 정보를 "연봉" 순서대로 알고 싶으므로, salary 속성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주면 된다. SELECT * FROM EMPLOYEE ORDER BY salary; 기본 정렬 방식은 ASC 으로 오름차순을 따른다. 그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싶을 떄는 어떻게 해야 할까? DESC 키워드를 써주면 된다. SELECT * FROM EMPLOYEE ORDER B..

[데이터베이스] 8장 - SQL 로 데이터 조회하기! JOIN

✅ JOIN : SQL 에서 JOIN 이란 두 개 이상의 table 들에 있는 데이터를 한 번에 조회하는 것 입니다. : 여러 종류의 JOIN 이 존재합니다. ✅ Implicit JOIN vs Explicit JOIN 먼저, implicit join 과 explicit join 에 대해 알아봅시다. 아래와 같은 statement가 있을 때, 쿼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id 가 1 인 임직원이 속한 부서 이름은? SELECT D.name FROM EMPLOYEE AS E, DEPARTMENT AS D WHERE E.id = 1 AND E.dept_id = D.id; SELECT 문에 대한 포스팅에서도 JOIN 이 동작하는 것을 다뤘는데요, 이렇게 WHERE 절에 join_condition이 같이 있는 것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