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13

[백준/알고리즘/python/java] 10828번 - 스택

파이썬에서 스택 자료구조 라이브러리를 따로 제공하지 않는다. 대신, 리스트를 스택으로 기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문제가 바로 그런 문제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다섯가지 명령을 함수로 만들어도 되는데, 우선 스택을 Class 로 만들어봤다. (코드는 아래와 같다.-python)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class Stack: def __init__(self): self.stack = [] def __len__(self): # 스택의 길이(크기) return len(self.stack) def push(self, item):# 스택에 item 집어넣기 self.stack.append(item) def pop(self):#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원소 빼내기 if..

[백준/알고리즘/python/java] 11399번 - ATM

최소값을 구하려면 우선, 시간을 오름차순으로 나열하는 것이 관건이다. 처음에는 map 함수를 통해서 여러개의 값을 받는 것을 list화 시켜서 정렬(sort)을 해야 하는데, 사용자에게 여러개의 값을 입력받을 때 number 값을 이용하는 줄 알고 애를 먹었다. 자바같은 언어에서는 보통 number 같은 변수를 입력 받아 for문을 돌면서 배열에 값을 넣어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용자에게 입력 받은 number는 나중에 값을 하나씩 더할 때 사용되는 것이고, 사용자에게 차례로 입력받은 값을 리스트에 넣으려면 그냥 map함수를 list() 해주면 됐다. 그리고 정렬을 할 때는 맨 처음에 애를 먹었던 것이 number = int(input()) time_list = map(int, input().split..

[백준/알고리즘/python/java] 1978번 - 소수 찾기

소수 찾기는 기본 알고리즘을 공부할 때, 자주 접했던 문제이다. 사용자에게 개수를 입력받고 다음줄에 개수만큼 숫자들을 차례로 입력한다. 그 숫자들이 소수인지 소수가 아닌지 판별하기 위해서는 그 숫자를 2부터 그 숫자까지로 나눠봐야 알 수 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21 이라는 숫자를 가정해보자. 21의 약수는 1,3,7,21 이다. 지금의 경우에야 21을 3으로 나누면 나누어 떨어지므로 반복문을 돌 때 break 구문을 만나 탈출 할 것이다. 다른 문제에서는 이 숫자를 굳이 21까지 나눌 필요는 없다는 뜻이다. 어차피 약수는 서로 양끝의 숫자들이 차례로 쌍을 이루어 곱한 값이 그 수를 이룬다. 그렇다면, 해당 숫자의 제곱근 까지만 반복문을 돌아도 상관없어지게 된다. 이런 알고리즘은 약수의 개수가 몇 개인..

[백준/알고리즘/python/java] 2839번 - 설탕 배달

어떤 수가 주어질 때, 그 수가 5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 라면 5로 하나씩 빼고 3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라면 3을 하나씩 빼면 될 것 같았다. 약간 그리디 알고리즘처럼 말이다. 하지만, 예외가 있었다. (처음 풀었던 python 코드) n = int(input()) cnt = 0 while(n != 0): if(n % 5 == 0): n -= 5 cnt += 1 elif(n % 3 == 0): n -= 3 cnt += 1 else: cnt = -1 break print(cnt) 하지만, 위 코드처럼 풀면, 8이라는 수는 2가 나와야 정상인데, -1을 출력하고 만다. 다시 고민해봤다. (두번 째로 고친 python 코드) n = int(input()) cnt = 0 while(n != 0): if(n %..

[백준/알고리즘/python/java] 2941번 - 크로아티아 알파벳

처음에는 시간초과가 났었던 문제이다. 알파벳을 기준으로 하지말고 기호를 기준으로 제어문을 나누었더니 시간초과문제가 해결되었다. (처음에 풀었던 코드-python) string = input() length = len(string) cnt = 0 idx = 0 while(idx != (length)): if(string[idx] == 'l'): if(string[idx+1] == 'j'): cnt += 1 idx += 2 else: cnt += 1 elif(string[idx] == 'n'): if(string[idx+1] == 'j'): cnt += 1 idx += 2 else: cnt += 1 idx += 1 elif(string[idx] == 'd'): if(string[idx+1] == 'z'): ..

반응형